아티스트

Home > 아티스트 > 아티스트

"Chaos under Dream"“꿈과 카오스의 이중주 끝없는 긍정과 부정” 2002

본문

"Chaos under Dream"“꿈과 카오스의 이중주 끝없는 긍정과 부정” 2002  
꿈과 카오스의 이중주 끝없는 긍정과 부정


이원일 (미디어 시티 서울 전시총감독)

작가 이경호가 꿈꾸고 있는 세계는 불확정성의 세계다. 이는 혼돈 속에 일정한 규칙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면서도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불안정한 현상과 같다. 그의 예술은 끊임없는 자기 부정을 통해 부정도 긍정도 할 수 없는 카오스의 세계를 복잡계의 눈으로 직시하고자 하며 합리성의 그늘에 감추어져 있던 신체, 자연, 사회현상의 모순, 대립, 갈등을 진지하게 성찰하고 있다. 그의 작업은 단순히 과학이론과 지식을 예술언어로 예증하는 차원을 넘어 미디어라는 첨단매체를 통해 과학, 철학, 종교, 역사관의 한계를 제시하는역설을 보여준다. 가령 고개를 숙이며’Yes’를 내뱉는 이미지와 자신의 뺨을 때리며 ‘No'를 외치는 이미지 컷들을 디지털 방식으로 편집, 조작하여 늘린 후 각기 다른 화면 위에 투사시킨카오스라는 작품은 시간과 공간의 순환적 흐름을 파괴한 후 비선형 동적 시스템으로 변환시켜 복잡함과 잡음 속의 규칙성 반복적으로 드러내주며, 빠름과 느림이라는 예정된 속도 속에 예측 불가능한정지된 시간성을 포치시킴으로써 뉴턴적 절대시간과 공간을 부정하는 카오스적 시공간을 표출시킨다. 거기에 극단적으로 견디기 어려운 규칙적 소음이 가해질 때 그곳에서 상실과 가치부재의 시대가 낳은 아노미 현상의 징후가 목격되는 것이다. 그것은 감각적 질서의 전복현상을 통해 시간의 급진성에 제동을 걸며 궁극적으로 무질서의 공감각적 세계를 극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즉 시각과 청각의 순수 고유지평이 동시에 상실되는 그 세계에서 짐승의 울부짖음에 가까운 인간의 변조된 음성은 차라리 시각을 겁탈하는 청각이 되어버린다. 그렇게카오스는 컴퓨터를 통해 이경호라는 사적인 육체를 위조시킴으로써 정신이 육체를 부정하고 조종하는 초라한 자아의 본질을 노출시킨다. 마치 하임 (M. Heim) 가상자아를 두고육체의 불투명성을 흡수하고, 고깃덩어리를 갈아서 정보를 만들고, 에로틱한 삶은 꼭두각시놀음으로 전락시켜 조종거리로 만든다.”고 했던 것처럼 이경호의 디지털 화된자아는 비밀스런 자기애의 쉼터마저 집어삼켜버리는 자학과 자기혐오의 일단을 드러냄으로써 자아라는운명을 스스로 탕진, 소진시키는 결과를 낳고 있다. 그러한 점에서’Yes’ ‘No'도 아닌 일견 무의미함을 보이는 그의 작업은 정신이 나간 자, 고독한 자의 중얼거림과도 같은 의미 없는독백을 닮아있다. 그러나 그 맹목적이고 무목적적인 혼돈의 메시지는 종국에는 반사적인 자기존재 처절한 확인작업이다. 왜냐하면 그중얼거림이란 어떤 수신자를 전제하지 않기 때문에 자아를 향한 고독한 부메랑일 뿐인 것이다.

한편 물에 비친 달의 형상을 인터렉티브의 피드백 효과를 통해 증폭시킴으로써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교감을 추구한디지털 문은 매혹적인 푸른 화면위에서 쌍방형성의 변주를 선사한다. 즉 관람객이 푸른빛을 완전히 가리면서 지나갈 때 우주의 빅뱅을 닮은 화면의 폭발이 이루어지며 관람객을 일순간 나르시시즘의 블랙홀, 즉 카오스의 세계를 안내하는 것이다. 거기서 수용자는 감성과 이성, 평상심과 극심한 혼란 사이를 왕래하며카오스작품에서의 정지된 화면과 유사한 정신의 공황상태를 체험하게 된다. 그것은 푸른빛에 의해 풀려버리는 자아의 실종이요, 그러한 탈자아속에서 또다시 자신의 중심을 잡으려 발버둥치는 현기증 나는 카오스적 현실의 반영인 것이다.


그렇게 시공간의 카오스 속에서 이미지와 소리의 통합변조를 통한 복합 감각적 조작 가능성을 극대화시키고 있는 이경호의 새로운 디지털 작업들은 형식 미학적 입장에서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4개의 키워드를 함축적으로 연상시키고 있다. , 활동(action)에서 명료화(clarification), 변형(transformation), 그리고 침묵(silence)의 단계를 반복해서 왕래한다는 의미다. 그러한 변형과 침묵 사이의 유연한 중개적 과정을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으로 접근하여 자아와 세계의 비선형적, 불가해적 신비의 영역을 탐험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것은 부단한 자기갱신과 확장의 예술적 실천이다. 모니터 공간 속에서 완전히 환원되거나 흡수될 수 없는 불확정성의 세계, 의사환경 속에서 변질된 사이버자아(Cyber-self)의 표류의 시선을 통해 오히려 흔들리는 세계를 바라보려 하는 꿈과 카오스의 불안한 이중주 말이다.




Rhee Won-il (Media-City Seoul 2002, Artistic Director)

The world of which Lee Kyoung Ho dreams is the indeterminate world. Same as it has found a certain rule in confusion, but it cannot yet predict the future of the unstable phenomena. Through incessant self-negation, he attempts to face the complex world of chaos which can be neither egated nor affirmed, while meditating seriously on such phenomena hidden in the shadow of reason as human body, nature, contradiction, confrontation and conflict of the society. Just beyond describing scientific theories and knowledge with artistic language, he shows us a 'paradox' suggesting a limit of science, philosophy, religion and history by using the most advanced medium called 'media'. For examples, in the work titled 'Chaos', an image shouting  'Yes' with the head bowed or an image slapping the cheek and shouting 'No' is edited into the digital media to be elongated and projected onto other screen. Thus, the cyclic flow of time and space is destroyed, because the non-linear dynamic system reveals complexity and noises regularly and repeatedly. Moreover, unpredictable 'stopped' time is set at a pre-determined rapid or slow speed to negate Newtonian absolute time and space. The result is a Chaos time and space. When a regular noise which cannot be endured is added to it, we will witness a symptom of anomie which has resulted from sense of loss and lack of value. In other words, the rapid flow of time is checked by reversal of the sensual order, and the ultimate goal is to reveal a synesthetic world full of disorder. In such a world where the pure horizon of visual and auditory senses has been lost simultaneously, the human voice modulated to resemble beast's roar will become an auditory sense overshadowing the visual sense. Thus, in the work 'Chaos', Lee Kyoung Ho's private body is fabricated by computer. The resultant effect is that mind negates body to control it and thereby, that a shabby essence of ego is exposed. Just as (M.Heim) sets a 'virtual ego' and has it absorb the opaque body, and grinds the body mass to create an information and ultimately, degenerate the erotic life into a puppet play, so Lee Kyoung Ho's digitalized 'ego' reveals a self-torture and self-abhorrence engulfing even the secret self-affection only to exhaust and consume the 'doom' of ego. In this sense, his work signified neither 'Yes' nor 'No'. It looks insignificant, and it resembles insane people or lonely person’s mumbling or 'monologue'. However, the blind and aimless message of confusion reflects author's self- existence. It is a wretched struggle to affirm the ego. Since 'mumbling' does not assume any receiver, it must be a lonely boomerang returning towards his ego.
'Digital Moon' which describes a shape reflected on the surface of water amplifies the feedback effect of interactive to purse an exchange between digital and analogue. It shows a variation formed on an attractive blue screen. When the audience passes by it hiding the blue light, they will see a screen explosion resembling the Big Bang of the universe, being guided instantly into the black hole of narcissism or the world of Chaos. There, the audience will reciprocate between emotion and reason, and between homeostasis and extreme chaos. They will also experience a mental panic similar to the stopped screen in the work Chaos. It is like the ego lost in the blue light. Then, the audience will face a dizzy chaos where in the struggle to be correctly centered.
Lee Kyoung Ho's new digital works designed to maximize the complex sensual manipulations through integrated modulation of images and sounds in the temporal and spatial chaos connote four key words of Wittgenstein's philosophy: action, clarification, transformation and silence. His works reciprocate among these four stages repeatedly. The smooth relay process between transformation and silence is treated with the digital processing to explore the mysterious arena. It is an incessant self-rehabilitation and expansion. It is a kind of artistic practice. The indeterminate world can be neither reduced nor absorbed completely. The cyber-self is transformed in a pseudo-environment to drift. His world is swaying. It is an unstable duo of dream and chaos.

 


           
주소:광주광역시 남구 천변좌로338번길 7(구동 12) | 대표번호:062-000-0000 | FAX:062-670-7929
Copyright(c)2016 By GJMA,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