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스트

Home > 아티스트 > 아티스트

‘우리는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김희랑(국문/영문)

본문

Untitled Document

‘우리는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상실의 시대, 자아성찰을 통한 치유의 메세지


김희랑 광주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이매리의 <Portraits of Shoe-우리는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전은 수많은 하이힐을 쌓아 올린 작품이 없었더라면, 이매리라는 작가와 쉽게 연관 짓기 어려운 전시였다. 그러나 그동안 사진, 회화, 영상, 설치 등 끊임없이 다양한 실험과 시도를 행해 왔던 그녀의 작업과정을 지켜보았다면 그리 낯선 것만은 아닐 수도 있다.


과거 이매리는 미니멀한 공간에 놓여 진 하이힐을 통해 존재와 부존재, 유와 무, 공간과 시간의 개념을 보여주었다. 흔히 그녀를 후기 미니멀리즘 경향의 작가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매리는 물질성과 기술 그리고 스타일을 강조하는 서구의 후기 미니멀리즘과는 달리 열망이나 사유와 같은 정신적인 것과 인간적인 감성을 담아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보여주었다. 어찌되었건 과거 이매리의 작품이 개념 보다는 시각적 조형성에 많은 무게를 두었고, 개념적 스토리는 미니멀한 형식 뒤편에 내재되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번 전시에서는 작가의 사유와 발언이 더욱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언어로 전면에 등장하게 된 점이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이다. 이매리는 이번 전시를 통해 지적 조형적 산물로서 작품 활동보다 성찰적 철학적 도구로서 작품 활동으로 방향 전환을 꾀하고 있다. 지금까지 이매리는 작가로서 앞만 보고 달려왔다면, 이번 전시를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자신의 삶과 실체적 존재가 녹아든 예술의 세계로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하이힐뿐만 아니라 부모의 고향 강진을 지키고 있는 대나무 숲과 월남사지석탑을 영상작업으로 옮겨온 작품과, 자신의 조상들의 이름을 적은 지방(紙榜)을 사용한 작품이 함께 선보였다. 그러나 역시 그녀 작업의 실마리를 ‘하이힐’에서 찾아보기로 한다.


이매리 작품에서 2000년대 중반 등장하게 된 하이힐은 성적 상징물-특히 여성성-로 읽혀져 왔다. 신발이 갖는 전통적 상징성이 너무 강력한데다 여성작가이고, 그 형태가 하이힐인데다 너무도 선명하고 자극적인 빨강색이기에 더욱 여성의 성적 상징물로 비춰졌다. 물론 필자 또한 그러한 의견에 동의한다. 그러나 이매리의 하이힐은 단순한 여성의 성적 상징물로서 한정시키기 보다는 작가자신의 존재성을 드러내는 사물이라는 해석이 더욱 정확할 것이다. 나아가 형식적 굴레, 즉 전통적인 가치관에 의해 형성되어왔던 규범과 질서에 의해 규정지어진 정치적 사회적 메커니즘으로부터 소외받은 타자들의 자화상이라 할 수 있다. 에로틱한 빨강색과 거대한 크기의 하이힐은 화려함과 위압감으로 무장하고 제도권 혹은 권력의 중심으로 진입하고픈 타자의 욕망을 대변해 주고 있다. 이러한 가면을 쓰고 있던 하이힐이 최근 그 옷을 벗어던지고 부서지기 쉬운 유약한 종이죽으로 만든 무색의 하이힐로 변화하였다. 이는 생물학적 신체적 의미의 성, 즉 섹스(Sex)의 개념이 아닌 사회 문화적 의미의 성, 젠더(Gender)임을 분명하게 밝히고자 하는 의도가 담겨있다. 과거 빨갛고 공업용 재료로 무장했던 하이힐이 이제 무색의 유연한 재료로 바뀌었다는 것은 나약하고 인간적인 타자로서의 본질을 드러내려는 시도이다. 욕망과 가식을 벗어나 자기존재를 있는 그대로 인정함으로써 그 본질을 직접적으로 제시하고, 스스로를 위로하고 치유하려는 의도이기도 하다.


지난 9월 광주시립미술관 <만물상-사물에서 존재로>전에서 보여준 이매리의 작품은 지금까지의 형식을 완전히 탈피하였다. 유럽의 로톤다(Rotunde) 건축양식을 차용하여 만든 구조물 위에 무색의 하이힐을 쌓아올린 작품으로 사회적 정치적 불합리하고 부조리한 시스템의 틈바구니에서 희생당한 억울한 자들에 대한 진혼의 의미를 지니는 작품이었다. 그 후 이번 전시에서는 건축적 구조물이라는 형식마저 거부한 채 수많은 하이힐을 무작위로 쌓아올린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보는 이에 따라 석탑 혹은 돌탑과 같은 형상이라고 하지만 필자는 타자의 희생을 상징하는 무덤을 연상하였다.


지금까지 언급한 바와 같이 이매리는 ‘하이힐’을 통해 수년 동안 자기 존재와 실존의 문제에 대한 고민을 거듭해 왔다. 이번 전시에서는 그 문제를 자전적 소재를 통해 더욱 진솔하게 풀어냈다고 할 수 있다. 영상작품 ‘우리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Ⅰ·Ⅱ’에는 부모의 고향인 강진의 대나무 숲, 월남사지 삼층석탑과 제사의식에서 사용되는 조상의 이름을 적은 지방(紙榜) 등 실재적(實在的) 공간과 실재적 사물이 등장한다. 자기 존재의 근원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서 고향, 조상, 가족이라는 자신의 뿌리와 관계된 것들의 의미와 그것들과 자신과의 관계에 관한 성찰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자기 존재에 관한 고민은 자신을 존재하게 한 고향-특정 장소로서 대나무 숲과 월남사지 삼층석탑-과 조상 등 생태적 환경적 유전자에 대한 관심으로 확장되었다. 또한 자신의 자전적 이야기는 영혼 없이 껍데기 상태로 살아가는 현대인들과 인류의 문제로까지 확대될 여지를 남겨준다.


‘우리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삶에 대해 한번쯤 고민해 본 사람이라면 떠 올려 봄직한 말이다. 하지만 세상일에 치여서, 먹고살기 힘들어서 혹은 먹고 살만하니까 잊어버리고 사는 말이기도 하다.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숙제는 ‘어떻게 살 것인가?’ 혹은 ‘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의 문제이다. 그리고 인간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기 자신이다. 세상 그 어떤 존재보다 중요하고, 산다는 것은 ‘나’라는 존재의 의미를 알아가고, ‘나’라는 존재의 흔적을 남기는 치열한 과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정작 중요한 숙제는 제쳐두고 눈앞에 닥친 현실적인 문제에 전전긍긍하며 살아간다.


세상살이 중 상처받지 않고 절망해 보지 않은 사람은 드물다. 목표하는 바를 이루지 못하고 사회와 세상에서 버림받고 상처 받은 사람들 투성이다. 하지만 절망 안에 머물러만 있다면, 영혼의 실패자가 될 것이다. 이매리의 작품은 상처 입은 자들에 대한 진혼이자 아픔을 극복하기 위한 자기치유의 발로이다. 세속적 의미의 성공만이 최선이 아니라 자신을 돌아보고 주위를 돌아보면 나를 존재하게 해준 수많은 사람과 역사에 감사하는 마음이 생긴다. 나라는 존재가 있기까지 나를 사랑해주고 나를 지탱해준 수많은 사람들과 유무형의 수많은 관계들을 발견할 수 있다. 작가 이매리에게 부모와 조상, 가족 그리고 친구들이 그 대상이고, 고향과 같이 나를 지켜봐주고 나를 품어준 장소나 공간이 그러한 존재들이다.


작품과 작가의 나이가 무슨 상관이 있겠냐 싶겠지만, 작가 이매리는 오십세를 넘겼다. 오십세는 흐르는 강물마냥 머무르지 못하고 쉼 없이 흘러만 가는 세월 속에서 어느덧 하늘의 뜻을 알고 하늘의 뜻에 따라 산다는 지천명의 나이라고 한다. 그러나 현실에서 오십대들은 성인이 되어가는 자식 뒷바라지와 정년을 코앞에 두고 불안하기만 한 노후대책 사이에서 팍팍한 삶을 살아간다. 그러나 그들의 가슴 한편에는 자신의 뿌리이자 안식처와 같은 대상으로서 부모와 고향에 대한 애틋한 향수가 자리 잡고 있다.


오십대들은 자연과 인간의 추억, 고향에 관한 기억을 공유한 마지막 세대일지도 모르겠다. 작가 이매리 또한 최근 몇 년 동안 지속적으로 자기 존재에 관한 고민을 하던 중 자신을 존재하게 해준 조상과 유전자에 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나아가 자신의 세대가 떠나고 나면, 후손들은 어디를 보고 자신을 기억하고, 자신을 찾고 싶을 때 어디를 갈 것인가, 어디에서 위안을 얻고 어떤 기억을 더듬을 것인가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인간의 의식과 인식 형성에 중요한 단서가 된 특정 장소와 공간의 역사에 대한 관심으로 확장되었다. 그리고 조상들의 삶의 터전이었고 그녀의 탯자리였던 강진 월남사지 석탑과 외갓집 대나무 숲이라는 장소를 통해 자신의 존재와 실존에 관한 근원적 질문을 던지게 된 것이다.


오늘의 시대를 흔히 ‘자기 상실’의 시대라 한다. 감각과 탐욕에 길들여져 인간본성이 사라져 가는지도 모르고 사는 사람들이 태반이고, 정복하고 소유하고 과시하려는 욕구만이 넘쳐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간은 '인간다운 자기 자신'과 '진실한 자아'를 잃어버리고 '비본래적인 자기'에로 추락해 간다. 어떻게 살아가고 행동하며 실천해야 하는지에 대한 성찰이 절대적으로 필요가 시대이다. 자기존재를 찾아간다는 건, ‘어떻게 살 것인가?’, ‘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의 문제와 직결되는 것으로서 궁극적으로 인생을 살아가는 태도에 관한 것이다. 이매리의 <Portraits of Shoe-우리는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전은 한해를 마감하는 시점에서 인생에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삶이 무엇인지? 스스로에게 질문하고 반성하게 한 의미 있는 시간이 되었다.



‘Where do we come from and where are we heading to?’

-In the period of loss, a message of healing through self-reflection



Kim Hee Rang, Gwangju City Gallery, Curator


The exhibition of Lee Mae Ri’s <Portraits of Shoe- Where do we come from and where are we heading to?> was a exhibition uneasy to be associated with the writer, Lee Mae Ri, without her piece of stacking up too many high-heels. However, looking at the process of her work having done innumerable trials and errors such as photos, paintings, images and installations, it may not seem that strange.


In the past, Lee Mae Ri has shown the concept of existence and non-existence, being and non-being, space and time. Many consider her as a minimalist artist. However, she has showed differentiation in that she included mentalism and humanism such as aspirations and thoughts, different from post-minimalism in the West that emphasizes materialism, technology and style. Anyhow, her pieces in the past were focused on visual formativeness than the concepts, and the conceptual story was embedded behind the minimal form. However, in this exhibition, it is outstanding that the thoughts and mentions of the writer emerge in front with more detailed and direct language. She pursues a diversion to the artwork as a reflective and philosophical tool rather than her working over art as an intelligent formative produce through this exhibit. To date, she was never distracted by anything around her, but this time, she is trying to enter into the world of art, melting her life and her substantial existence, while reflecting herself.


In this exhibit, a work that has brought over bamboo forests, Wolnam Saji Stone Stone Tower into an imaging work as well as high-heels, and those having used spirit tablet made of paper used in ancestral rites in Korea with their ancestors’ names were introduced. However, we cannot but look at the clues of her works in the ‘high-heel.’


High-heels that came into being in the middle of 2000s at her works have been read as a sex symbol, especially feminism. It has been a powerful symbol in the past. She is a female artist, and the shape is high-heel, which is so vivid and stimulant red, thereby, it was highlighted as a simple and female sex symbol. Of course, I agree to those opinions. But, her high-heels are not just a sex symbol, but an object that reveals her own existence by which it can be interpreted accurately. Furthermore, it is a self-portrait of others alienated from political and social mechanism regulated by norms and orders shaped by the traditional value, or a formative bridle. Erotic red and huge high-heels represent other’s desire to enter the center of system and power, armed with splendor and coercion. High-heel, covered with this mask, has put off its clothes, and changed into a colorless heel made from a fragile papier mache. This is not a concept of sex, which is a biological and physical sex, but sex of society & culture, also the gender, which has led us to state it clearly likewise. High-heel, armed with red and industrial material in the past has turned into a colorless and flexible material, is an attempt to reveal its essence as a feeble and humane other. Free from desire and disguise, admitting the self as it is, it can console and heal itself, while suggesting the essence directly.


Last September, her work displayed at Gwangju City Gallery <General store-From the thing to the existence> exhibition was totally absent from its form to date. It is a work that has piled up colorless high-heels on the structure made, while borrowing the architectural style of European Rotunde, which was a work and a sort of requiem for sacrificed and unfair people between the gap of socially and politically unreasonable and absurd system. After then, at this exhibition, it displays a shape of randomly stacked high-heels, denying any architectural form. Some may say that it is a shape of a stone tower, but the artist has considered a grave that symbolizes other’s sacrifice.


As we have mentioned, artist Lee was endlessly concerned about her existence and existentialism for countless years through ‘the high-heel.’ This exhibition has undone that issue truly through her autobiographical material. Bamboo forests in Gangjin, her parents’ hometown and spirit tablet made of paper used in ancestral rites in Korea with the ancestors’ names used at Wolnam Saji Three Stone Tower and ancestral rites, etc., which are substantial space and object appear in the video ‘Where do we come from and where are we heading to? I/II.’ They are the works that show the meaning of their roots and those related such as home, ancestors and family, as a mean to find out their origin of existence and reflect on themselves and their relationships. Their concern over self has extended to their interest in ecological/environmental genes such as their hometowns, from which they came- the bamboo forest and Wolnam Saji Three-story Stone Tower- and ancestors. In addition, their own biographical story leaves a room to be extended to the issue of modern people and humankind that live without a soul, still uncovered.


‘Where do we come from and where are we heading to?’

This is a saying if a person has cogitated for himself over his own life. However, it is a word forgotten, because he has to struggle from his life, hard to earn money and manage his/her life or is forgotten because he has earned a competence. The most desperate assignment for humans is ‘How to live?’ or ‘For what shall we live?’ And it is he himself that is the most significant in his life.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being in the world, life is a ferocious process to leave the trace of ‘me,’ myself, knowing the meaning what I am. Nevertheless, most people leave out a really important assignment, but manage to live their lives, getting nervous of the realistic issue in front of their eyes, setting aside the really important one.


Most of the people are hurt through their course of life. There are tons and tons of them discarded and hurt from the society and world, not achieving what they desire to accomplish. However, if they stay inside the well of frustration, their soul would fall far behind. Works by artist Lee is a expression of requiem for the people hurt and self-healing to overcome their pain. A success in a secular meaning is not the best, but as you look around yourself and others, you can be grateful to so many people and history that have made yourself as who you are. So many people have loved and supported me, and there are so many relationships tangible or untangible. For artist Lee, her parents, ancestors, family and friends are the objects, and spaces or places that kept an eye on me and embraced me are those kinds of beings.


You may doub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work and artist, but artist Lee has passed age 50. Many people have said that 50 is an age of jicheonmyung, subject to live as the will of God and acknowledge it when the time flows endlessly, that keeps on flowing as a river. However, people in their 50s live under a great stress, unstable with their economic adversity supporting their children turning into adults. But, on one side of their heart, there is a lovely nostalgia as to their parents and hometown, which is regarded as their haven and root.


People in their 50s would be the last generation that has shared their memory for reminiscence and hometown of nature and human. Ms. Lee turned to her ancestors and genes that made her live to date, while she worried about herself endlessly for the last few years. Furthermore, she said that she came to think about some questions like, ‘If our generation leaves, where would the descendants look at and remember? ’Where would they head to when they want to see me?‘ and ’Where would they get consolation?‘ and ’Which memory would they keep in touch with?’ This kind of critical mind has extended to the interest in specific place and space that have become important clue for forming human sense and awareness, and through the places Gangjin Wolnam Saji Stone Tower and her mother’s side, base of her ancestors and her origin of birthplace, she came to cast original questions as to her existence and existentialism.


Many say that the present age is filled with ‘Loss of Self.’ Tamed with sense and voracity, there are so many people not acknowledging their human nature is disappearing, and desire to conquer, possess and show off overflows. Under this circumstance, humans have lost ‘humane and true self,’ falling down to ‘non-original self.’ Reflection over how to live, behave and practice is desperately required in this age. Seeking one’s own existenc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ssue of how I would live and for what I would live, and is ultimately concerned with the attitude of living one’s own life. Ms. Lee’s <Portraits of Shoe-Where do we come from and Where are we heading to?> exhibition was a meaningful time asking and reflecting on ‘What is important in life?’ and ‘What kind of life is meaningful and valuable?’


"......Where have you come from and where are you going?''

(GENESIS 17:8)


           
주소:광주광역시 남구 천변좌로338번길 7(구동 12) | 대표번호:062-000-0000 | FAX:062-670-7929
Copyright(c)2016 By GJMA,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