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스트

Home > 아티스트 > 아티스트

영상이미지에서 표출된 예술적 사유 그리고 문명사회의 내러티브 - 오윤철

본문

Untitled Document

영상이미지에서 표출된 예술적 사유, 그리고 문명사회의 내러티브


오윤철(예술철학 박사)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접하게 되는 물리적 대상이나 비물질적 대상을 어떻게 표현하는가는 작가마다 다르다. 특히 최근 들어 사진과 비디오 설치 등의 매개체를 이용하여 그것을 새로운 기호로 재생성하고 회화적 언어로 나타내려는 움직임들이 일고 있다.

박상화 작가, 그는 이 과정을 통해, 문명사회문제를 은유적이고 절제된 영상미로 이야기한다. 그는 3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광주시립미술관 본관에서 개최되는 봄맞이 특별 기획전 ‘나비의 꿈’전에 초대되어, 투명 스크린에 나비를 투영시킨 <休>를 출품했다. 그는 이 전시에서 새로운 방식의 영상실험 작품인 입체 투명 스크린에 영사을 투사해서 입체 공간에 휴식의 공간으로서의 영상 숲을 만들어 내는 작업을 선보일 예정이다. 여기까지 발전한 그의 예술적 고행과 냉철한 작품세계를 들여다보자.

박상화는 미디어아트 작가로, 특히 호남 지역의 선구적인 젊은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박상화의 작품 세계를 간간이 듣긴 했지만 직접 작품을 볼 수 있게 된 것은 ‘2010년 대동문화재단의 레지던시 프로그램’ 덕분에 레지던시 작가의 기획 평론을 담당하면서 였다.


박상화 작가의 열정, 그리고 만남

박상화의 작품에 나타난 독특한 조형적 기호 이미지는 내러티브와 회화적 사유라는 두 가지 인상을 남기고 있다. 내러티브란, 작가가 영상이미지를 통해 보여주고자 했던 은유적인 암시 즉, 인간의 욕망, 욕구, 문명사회의 비판적 견해, 나아가 생명의 소멸과 탄생에 대한 뛰어난 해석력과 통찰력에서 오는 인상이다. 그리고 회화적 사유란, 그가 장치(Installation) 작업을 하고 있지만 영상이미지를 회화적 언어로 변용을 꾀하고 있다는 점에서 오는 인상이었다. 이것은 회화의 조형적요소를 완전하게 파괴하지 않는 채 그것을 영상이미지로 치환하여 관람자로 하여금 마치 하나의 회화작품을 보는듯한 착각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박상화는 처음에는 대학에서 조각을 전공했다. 하지만 졸업 이후 실험적인 매체를 이용한 다양한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1995년에 개회된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인 ‘인포아트전(Inforart)’은 국내에서 처음 열린 미디어 아트 전이였다. 더욱이 비디오 아트의 세계적인 작가 백남준씨의 적극적인 참여는 국내 젊은 미디어 작가들에게 큰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박상화작가도 이 전시를 계기로 미디어 아트 작가의 길을 걷게 되었다. 이후, 2000년 서울 국제 미디어 비엔날레가 처음으로 개회되면서 국내에서도 본격적인 미디어 아트의 활성화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박상화작가가 미디어 아트를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초반이었다. 당시만 해도 중앙에 비해 호남 지역의 미디어 아트는 지역척 폐쇄성이라는 태생적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다. 따라서 그는 미디어 아트의 황무지를 홀로서서 개척해야만했다. 그는 “당시 국내에서 영상미술이 아직 활성화 되지 않은 시기라 영상장비들의 사용에 대한 노하우나 영상편집 및 그래픽 프로그램들을 배울 수 있는 환경이 매우 제한적 이었다.”고 말했다.


생성, 소멸, 그리고 순환성

하지만 그는 예술에 대한 열정으로 “처음에는 그래픽 프로그램들과 관련서적들을 구해서 독학을 해나갔다.”면서 “돈이 조금 생길 때면 영상장비들을 하나둘씩 모아서 실험 및 작품제작을 하는 형편이었다.” 고 말한다.

박상화는 “영상작품을 구사하는 자신만의 표현 언어와 내용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와 사유의 시간이 필요”하며, “상상하는 바를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능숙하게 구사하기 위해서도 많은 실험과, 시행착오를 거쳐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런 예술적 고행을 묵묵히 거치면서 그는 미디어 아트 작가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다. 1998년 광은 갤러리에서 열린 PASS의 그룹전에 그의 최초 영상설치 작품인 <Song of SUN>을 출품했다. 이작품은“태양의 모습을 형상화한 철조각과 태양을 모티브로 해서 제작한 3D에니메이션 영상을 컴퓨터 모니터에 설치해서 전시한 작품”이었다. 이후, 박상화는 2003년 광주지역 최초의 영상그룹 인 ‘VIEW’를 조직하고 2004년에 ‘무등갤러리’에서 창립전을 하면서 호남 미디어 아트의 전개를 담당할 역량 있는 선구적인 젊은 작가로 인정받게 된다.

박상화, 그의 작업은 일상적인 문명으로부터 소재를 취하고, 그 소재를 은유적인 형상화를 통해 접근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는 가시적이거나 혹은 비가시적인 세계를 자연그대로 그려내는 것이 아닌 인공적인 접근을 거쳐 해체하고 조합하는 형식을 통해 그 대상의 본질적인 요소를 찾으려고 하는 것이다. 특히, 박상화가 직접 말하고 있는 것처럼 “인간 삶의 궁극적인 존재의미와 가치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응답하는 1999부터 2004년까지의 일련의 작품 <Tower of babel>, <야생화>등은 그가 그리는 영상 이미지에 창조적 원유의 내러티브가 놓여있다. 이것은 표면적으로 ‘자연’과 ‘문명’이라는 두 가지의 테마로 구분되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 생태학적 유기성을 내포 하고 있다. 이 생태학적 유기성이란, 생성과 소멸, 변형, 반복 그리고 순환적 과정을 거치는 자연의 숭고를 구조화했다고나 할까. 그의 일련의 작품들은 그 소재가 되는 일상적인 대상을 디지털 그래픽 방식을 통해 앞에서 언급한 네 가지 대응방식으로 인위적인 조작이 가해진다.


다감각적 영상 이미지가 회화작품처럼

이 결과로 얻어지는 구조물 혹은 비구조물의 형상은 마치 구상회화가 추상회화로 변모하는 과정과 비슷하다. 박상화에 의하면, “인간의 욕망과 문명 그리고 이들의 사라짐의 과정을 통해서 인간이 집착하고 있는 대상과 인간 존재의 무력함을 자각하게 되는 과정...‘들풀’의 내재된 아름다움과 생명력, 가치의 문제”를 조형적 언어로 재해석하려는 시도였다는 것이다. 박상화는 일상적 삶에 대한 체험을 통해서 얻어지는 평범한 대상물의 가치속에서 ‘자연’과 ‘문명’이 내포하고 있는 어떤 속성을 보여준다. 이는 이분법적인 구조가 아닌 하나의 유기적인 전체 구조로 이해하고 파악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 동일한 개념으로, 작가가 좀더 구체적으로 발전시킨 최근 2008에서 2010년까지의 일련의 작품<Inner dream>, <Money fall>은 우리 삶의 공감대를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소재인 대상물로 접근한다. 이를테면 아파트, 지폐, 동전 등은 작가의 ‘인간의 가치’문제를 지칭하는 구체적인 소통 매개체가 된다. 이러한 작가의 내러티브를 제외하고더라도 눈여겨 볼 것이 있는데, 그의 영상미가 보여준 회화적 사유가 바로 그것이다. 이 ‘회화적사유’란 “영상이미지를 연출함에도 관람자로 하여금 마치 하나의 회화 작품을 보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이 유형의 특징은 전통적인 미술의 조형요소를 영상이미지의 다감각적인 체험 통해 적극적으로 관객과 소통하고 있다는 점일 것이다.

문명세계의 대상들을 통해 관객과 소통의 길을 열어가는 그에게 어떤 영상 이미지가 떠오를까. 좀더 두고볼 일이다.


           
주소:광주광역시 남구 천변좌로338번길 7(구동 12) | 대표번호:062-000-0000 | FAX:062-670-7929
Copyright(c)2016 By GJMA, ALL Right Reserved